Skip to content

Commit 4a35a7a

Browse files
authored
Merge branch 'main' into fix-typo-bundle-textlint
2 parents 345404c + 5fc7562 commit 4a35a7a

File tree

3 files changed

+31
-36
lines changed

3 files changed

+31
-36
lines changed

src/content/reference/react/Fragment.md

+2-4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5,7 +5,6 @@ title: <Fragment> (<>...</>)
55
<Intro>
66
`<Fragment>`는 종종 `<>...</>` 구문으로 사용되고, 래퍼 노드 없이 엘리먼트를 그룹화할 수 있습니다.
77

8-
98
```js
109
<>
1110
<OneChild />
@@ -32,7 +31,7 @@ title: <Fragment> (<>...</>)
3231

3332
- Fragment에 `key`를 사용하려면 `<>...</>` 구문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. 명시적으로 `react`에서 `Fragment`를 import하고 `<Fragment key={yourKey}>...</Fragment>`를 렌더링해야 합니다.
3433

35-
- React는 `<><Child /></>`에서 `[<Child />]`로 렌더링하거나 (또는 반대의 경우), 혹은 `<><Child /></>` 에서 `<Child />` 렌더링하거나 (또는 반대의 경우) [state를 초기화](/learn/preserving-and-resetting-state)하지 않습니다. 이는 오직 single level까지 적용됩니다. 예를 들어 `<><><Child /></></>` 에서 `<Child />`로 렌더링하는 것은 state가 초기화됩니다. 정확한 semantics는 [여기](https://gist.github.com/clemmy/b3ef00f9507909429d8aa0d3ee4f986b)서 참조하실 수 있습니다.
34+
- React는 `<><Child /></>`에서 `[<Child />]`로 렌더링하거나 (또는 반대의 경우), 혹은 `<><Child /></>` 에서 `<Child />` 렌더링하거나 (또는 반대의 경우) [state를 초기화](/learn/preserving-and-resetting-state)하지 않습니다. 이는 오직 Single Level Deep까지만 적용됩니다. 예를 들어 `<><><Child /></></>` 에서 `<Child />`로 렌더링하는 것은 state가 초기화됩니다. 정확한 semantics는 [여기](https://gist.github.com/clemmy/b3ef00f9507909429d8aa0d3ee4f986b)서 참조하실 수 있습니다.
3635

3736
---
3837

@@ -42,7 +41,6 @@ title: <Fragment> (<>...</>)
4241

4342
여러 엘리먼트를 함께 그룹화하기 위해 `Fragment``<>...</>` 문법을 사용하세요. 한 개의 엘리먼트가 존재할 수 있는 곳에 여러 엘리먼트를 넣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한 개의 엘리먼트만 반환할 수 있지만 Fragment를 사용하여 여러 엘리먼트를 함께 그룹화하여 반환할 수 있습니다.
4443

45-
4644
```js {3,6}
4745
function Post() {
4846
return (
@@ -54,7 +52,7 @@ function Post() {
5452
}
5553
```
5654

57-
Fragment로 엘리먼트를 그룹화하면 DOM 엘리먼트와 같은 다른 컨테이너로 엘리먼트를 감싸는 경우와는 달리 레이아웃이나 스타일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Fragment는 효과적입니다. 브라우저로 아래 예시를 검사하면 모든 `<h1>`, `<article>` DOM 노드가 래퍼 없이 형제 노드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55+
Fragment로 엘리먼트를 그룹화하면 DOM 엘리먼트와 같은 다른 컨테이너로 엘리먼트를 감싸는 경우와는 달리 레이아웃이나 스타일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Fragment는 효과적입니다. 브라우저로 아래 예시를 검사하면 모든 `<h1>`, `<article>` DOM 노드가 래퍼 없이 형제 노드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5856

5957
<Sandpack>
6058

src/content/reference/react/useOptimistic.md

+1-3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53,11 +53,10 @@ function AppContainer() {
5353
* `state`: 작업이 대기 중이지 않을 때 초기에 반환될 값입니다.
5454
* `updateFn(currentState, optimisticValue)`: 현재 상태와 addOptimistic에 전달된 낙관적인 값을 취하는 함수로, 결과적인 낙관적인 상태를 반환합니다. 순수 함수여야 합니다. `updateFn`은 두 개의 매개변수를 취합니다. `currentState``optimisticValue`. 반환 값은 `currentState``optimisticValue`의 병합된 값입니다.
5555

56-
5756
#### 반환값 {/*returns*/}
5857

5958
* `optimisticState`: 결과적인 낙관적인 상태입니다. 작업이 대기 중이지 않을 때는 `state`와 동일하며, 그렇지 않은 경우 `updateFn`에서 반환된 값과 동일합니다.
60-
* `addOptimistic`: `addOptimistic`는 낙관적인 업데이트가 있을 때 호출하는 디스패치 함수입니다. 어떠한 타입의 `optimisticValue`라는 하나의 인자를 취하며, `state``optimisticValue``updateFn`을 호출합니다.
59+
* `addOptimistic`: `addOptimistic`는 낙관적인 업데이트가 있을 때 호출하는 dispatch 함수입니다. 어떠한 타입의 `optimisticValue`라는 하나의 인자를 취하며, `state``optimisticValue``updateFn`을 호출합니다.
6160

6261
---
6362

@@ -71,7 +70,6 @@ function AppContainer() {
7170

7271
<Sandpack>
7372

74-
7573
```js src/App.js
7674
import { useOptimistic, useState, useRef } from "react";
7775
import { deliverMessage } from "./actions.js";

src/content/reference/rsc/server-actions.md

+28-29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1,33 +1,33 @@
11
---
2-
title: Server Actions
2+
title: 서버 액션
33
canary: true
44
---
55

66
<Intro>
77

8-
Server Actions를 사용하면 클라이언트 컴포넌트가 서버에서 실행되는 비동기 함수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.
8+
서버 액션(Server Action)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 컴포넌트가 서버에서 실행되는 비동기 함수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.
99

1010
</Intro>
1111

1212
<InlineToc />
1313

1414
<Note>
1515

16-
#### Server Actions에 대한 지원은 어떻게 구축하나요? {/*how-do-i-build-support-for-server-actions*/}
16+
#### 서버 액션을 지원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? {/*how-do-i-build-support-for-server-actions*/}
1717

18-
React 19의 Server Actions는 안정적이고 주요 버전 간에 중단되지 않지만, React 서버 컴포넌트 번들러 또는 프레임워크에서 Server Actions를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API는 semver를 따르지 않으며 React 19.x의 마이너 버전에서는 중단될 수 있습니다.
18+
React 19의 서버 액션은 안정적이며 메이저(Major) 버전 간에는 변경되지 않습니다. 그러나 React 서버 컴포넌트 번들러나 프레임워크에서 서버 액션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 API는 시맨틱 버전(semver)을 따르지 않으며 React 19.x의 마이너(Minor) 버전 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.
1919

20-
Server Actions를 번들러 또는 프레임워크로 지원하려면, 특정 React 버전에 고정하거나 카나리(Canary) 릴리즈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 향후 Server Actions를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API를 안정화하기 위해 번들러 및 프레임워크와 계속 협력할 예정입니다.
20+
서버 액션을 번들러나 프레임워크로 지원하려면, 특정 React 버전에 고정하거나 Canary 릴리즈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 향후 서버 액션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API를 안정화하기 위해 번들러 및 프레임워크와 계속 협력할 것입니다.
2121

2222
</Note>
2323

24-
Server Action이 `"use server"` 지시어로 정의되면, 프레임워크는 자동으로 서버 함수에 대한 참조를 생성하고 해당 참조를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 전달합니다. 클라이언트에서 해당 함수가 호출되면, React는 서버에 함수를 실행하라는 요청을 보내고 결과를 반환합니다.
24+
서버 액션이 `"use server"` 지시어로 정의되면, 프레임워크는 자동으로 서버 함수에 대한 참조를 생성하고 해당 참조를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 전달합니다. 클라이언트에서 해당 함수가 호출되면, React는 서버에 함수를 실행하라는 요청(Request)을 보내고 결과를 반환합니다.
2525

26-
Server Actions는 서버 컴포넌트에서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컴포넌트 props로 전달하거나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가져와서 사용할 있습니다.
26+
서버 액션은 서버 컴포넌트에서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 props로 전달할 수 있으며,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가져와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
2727

28-
### 서버 컴포넌트에서 Server Action 만들기 {/*creating-a-server-action-from-a-server-component*/}
28+
### 서버 컴포넌트에서 서버 액션 만들기 {/*creating-a-server-action-from-a-server-component*/}
2929

30-
서버 컴포넌트는 `"use server"` 지시어로 Server Actions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.
30+
서버 컴포넌트는 `"use server"` 지시어로 서버 액션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.
3131

3232
```js [[2, 7, "'use server'"], [1, 5, "createNoteAction"], [1, 12, "createNoteAction"]]
3333
// Server Component
@@ -45,7 +45,7 @@ function EmptyNote () {
4545
}
4646
```
4747

48-
React가 `EmptyNote` 서버 컴포넌트를 렌더링할 때, `createNoteAction` 함수에 대한 참조를 생성하고, 그 참조를 `Button`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 전달합니다. 버튼이 클릭 되면, React는 제공된 참조로 `createNoteAction` 함수를 실행하라는 요청을 서버로 보냅니다.
48+
React가 `EmptyNote` 서버 컴포넌트를 렌더링할 때, `createNoteAction` 함수에 대한 참조를 생성하고, 그 참조를 `Button`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 전달합니다. 버튼을 클릭하면, React는 제공된 참조를 통해 `createNoteAction` 함수를 실행하도록 서버에 요청(Request)을 보냅니다.
4949

5050
```js {5}
5151
"use client";
@@ -59,10 +59,9 @@ export default function Button({onClick}) {
5959

6060
자세한 내용은 [`"use server"`](/reference/rsc/use-server) 문서를 참조하세요.
6161

62+
###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서버 액션 가져오기 {/*importing-server-actions-from-client-components*/}
6263

63-
###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Server Actions 가져오기 {/*importing-server-actions-from-client-components*/}
64-
65-
클라이언트 컴포넌트는 `"use server"` 지시어를 사용하는 파일에서 Server Actions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.
64+
클라이언트 컴포넌트는 `"use server"` 지시어를 사용하는 파일에서 서버 액션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.
6665

6766
```js [[1, 3, "createNoteAction"]]
6867
"use server";
@@ -73,7 +72,7 @@ export async function createNoteAction() {
7372

7473
```
7574

76-
번들러가 `EmptyNote`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를 빌드할 때, 번들에서 `createNoteAction` 함수에 대한 참조를 생성합니다. 버튼이 클릭 되면, React는 제공된 참조를 사용해 `createNoteAction` 함수를 실행하도록 서버에 요청을 보냅니다.
75+
번들러가 `EmptyNote`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를 빌드할 때, 번들에서 `createNoteAction` 함수에 대한 참조를 생성합니다. 버튼을 클릭하면, React는 제공된 참조를 통해 `createNoteAction` 함수를 실행하도록 서버에 요청(Request)을 보냅니다.
7776

7877
```js [[1, 2, "createNoteAction"], [1, 5, "createNoteAction"], [1, 7, "createNoteAction"]]
7978
"use client";
@@ -88,9 +87,9 @@ function EmptyNote() {
8887

8988
자세한 내용은 [`"use server"`](/reference/rsc/use-server) 문서를 참조하세요.
9089

91-
### 액션으로 Server Actions 구성하기 {/*composing-server-actions-with-actions*/}
90+
### 액션으로 서버 액션 구성하기 {/*composing-server-actions-with-actions*/}
9291

93-
Server Actions는 클라이언트의 액션과 함께 구성할 수 있습니다.
92+
서버 액션은 클라이언트의 액션(Action)과 함께 구성할 수 있습니다.
9493

9594
```js [[1, 3, "updateName"]]
9695
"use server";
@@ -134,15 +133,15 @@ function UpdateName() {
134133
}
135134
```
136135

137-
이렇게 하면 클라이언트의 액션으로 래핑하여 Server Action의 `isPending` 상태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.
136+
이렇게 하면 클라이언트의 액션으로 래핑하여 서버 액션의 `isPending` 상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
138137

139-
자세한 내용은 [`<form>` 외부에서 Server Action 호출하기](/reference/rsc/use-server#calling-a-server-action-outside-of-form) 문서를 참조하세요.
138+
자세한 내용은 [`<form>` 외부에서 서버 액션 호출하기](/reference/rsc/use-server#calling-a-server-action-outside-of-form) 문서를 참조하세요.
140139

141-
### Server Actions를 사용한 폼 액션 {/*form-actions-with-server-actions*/}
140+
### 서버 액션을 사용한 폼 액션 {/*form-actions-with-server-actions*/}
142141

143-
Server Actions는 React 19의 새로운 폼 기능과 함께 작동합니다.
142+
서버 액션은 React 19의 새로운 폼(Form) 기능과 함께 동작합니다.
144143

145-
Server Action을 폼에 전달하여 폼을 서버에 자동으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.
144+
서버 액션을 폼에 전달하여 폼을 서버에 자동으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.
146145

147146

148147
```js [[1, 3, "updateName"], [1, 7, "updateName"]]
@@ -159,13 +158,13 @@ function UpdateName() {
159158
}
160159
```
161160

162-
폼 제출이 성공하면, React는 자동으로 폼을 재설정합니다. 보류 상태, 마지막 응답에 액세스하거나 점진적인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`useActionState`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.
161+
폼 제출이 성공하면, React는 자동으로 폼을 재설정합니다. `useActionState`를 추가하여 대기(Pending) 상태 혹은 마지막 응답(Response)에 접근하거나, 점진적 향상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.
163162

164-
자세한 내용은 [Server Actions 형식](/reference/rsc/use-server#server-actions-in-forms) 문서를 참조하세요.
163+
자세한 내용은 [서버 액션 형식](/reference/rsc/use-server#server-actions-in-forms) 문서를 참조하세요.
165164

166-
### `useActionState`를 사용한 Server Actions {/*server-actions-with-use-action-state*/}
165+
### `useActionState`를 사용한 서버 액션 {/*server-actions-with-use-action-state*/}
167166

168-
액션 보류 상태와 마지막으로 반환된 응답에 액세스하기만 하면 되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`useActionState`를 사용하여 Server Actions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.
167+
액션 대기(Pending) 상태와 마지막으로 반환된 응답(Response)에 접근하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`useActionState`를 사용하여 서버 액션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.
169168

170169
```js [[1, 3, "updateName"], [1, 6, "updateName"], [2, 6, "submitAction"], [2, 9, "submitAction"]]
171170
"use client";
@@ -184,13 +183,13 @@ function UpdateName() {
184183
}
185184
```
186185

187-
Server Actions와 함께 `useActionState`를 사용하는 경우, React는 hydration이 완료되기 전에 입력된 폼 제출 또한 자동으로 재생합니다. 즉, 사용자는 앱이 hydration 되기 전에도 앱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.
186+
서버 액션과 함께 `useActionState`를 사용하는 경우, React는 Hydration이 완료되기 전에 입력된 폼 제출을 자동으로 다시 실행합니다. 즉, 사용자는 앱이 Hydration 되기 전에도 앱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.
188187

189-
자세한 내용은 [`useActionState`](/reference/react-dom/hooks/useFormState) 문서를 참조하세요.
188+
자세한 내용은 [`useActionState`](/reference/react/useActionState) 문서를 참조하세요.
190189

191190
### `useActionState`를 통한 점진적 향상 {/*progressive-enhancement-with-useactionstate*/}
192191

193-
Server Actions는 `useActionState`의 세 번째 인수를 통해 점진적 향상도 지원합니다.
192+
서버 액션은 `useActionState`의 세 번째 인수를 통한 점진적 향상도 지원합니다.
194193

195194
```js [[1, 3, "updateName"], [1, 6, "updateName"], [2, 6, "/name/update"], [3, 6, "submitAction"], [3, 9, "submitAction"]]
196195
"use client";
@@ -210,4 +209,4 @@ function UpdateName() {
210209

211210
<CodeStep step={2}>permalink</CodeStep>가 `useActionState`에 제공될 때, 자바스크립트 번들이 로드되기 전에 폼이 제출되면 React는 제공된 URL로 리디렉션합니다.
212211

213-
자세한 내용은 [`useActionState`](/reference/react-dom/hooks/useFormState) 문서를 참조하세요.
212+
자세한 내용은 [`useActionState`](/reference/react/useActionState) 문서를 참조하세요.

0 commit comments

Comments
 (0)